오늘은 아데노 바이러스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합니다.
얼마 전 돌쟁이 저희 아이도 눈꼽감기에 걸려 심하게 앓았는데,
그 증상, 치료 과정 등을 공유하면서 독자분들에게 도움을 드려볼까 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란?
아데노 바이러스는 특히 소아에게 호흡기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주로 5세 미만의 유아층이 감염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합니다.
올해 아데노 바이러스는 굉장히 독한 편이라,
아이들을 24시간 케어하시는 부모님들도 쉽게 전염되어 함께 아픈 경우가 많다고 하네요.
늦겨울, 초여름에 발생 빈도가 높은 바이러스로, 감염자와의 직접 접촉 / 비말을 통한 전염이 감염 원인이라고 합니다.
아데노 바이러스의 증상
아데노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2~14일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평균적으로 4~5일 정도 잠복기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증상이 시작되면 고열을 동반한 기침, 콧물, 두통, 설사와 구토를 하게 된다고 합니다.
또한 아데노 바이러스는 '눈꼽 감기'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증상이 발생하는 초기에 눈꼽이 많이 끼게 되는 것이 그 이유이며, 눈꼽이 심할 경우 결막충혈, 유행성각결막염 등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고 하니 유의해야 하겠습니다.
저희 아이의 경우 그 증상이 콧물이 굉장히 많이 나고, 자고 일어나면 눈꼽이 많이 끼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는데요,
처음에는 초록색 눈꼽이 잔뜩 껴서 깜짝 놀라 알아보았더니,
눈꼽이 많이 낀다고해서 무조건 아데노 바이러스는 아니라고 하더라고요.
아기 비강에 콧물이 잔뜩 끼어있는 상황이면 콧물이 눈물샘을 통해 분비되어 눈꼽이 많이 낄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감기 증상이 있는 아이 눈에 눈꼽이 잔뜩 낀다고해서,
저처럼 무조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일 것이다라고 확신하시는 일은 없으시길 바라겠습니다.
저희 아이는 그 이후에는 눈꼽이 사라지는가 싶더니, 가래가 잔뜩 낀 상태로 기침을 심하게 하고, 새벽마다 고열이 나는 것으로 이어졌습니다.
약 3일 정도 이렇게 반복하다 보니, 고열은 더 이상 나지 않았고, 아직까지 약간의 기침과 콧물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굉장히 독하고 오래가는 바이러스라는 생각이 듭니다.
치료 방법
아데노 바이러스 치료만을 위한 백신이나 항 바이러스제는 따로 없다고 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치료할 수밖에 없는데요, 저희 아이 같은 경우는 위 증상으로 병원에 방문하였더니,
의사 선생님께서 "아데노 바이러스 감염이 매우 의심된다."며, "아데노 바이러스만을 치료하기 위한 특별한 약은 없으니 굳이 아이가 고생하는 PCR 검사, 혈액 검사는 추천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해 주시더라고요.
저도 굳이 애기 코를 면봉으로 찌르거나, 애기 팔에 주사 바늘을 꽂고 싶지 않아 바이러스 검사는 건너뛰었습니다.
의사 선생님 추천에 따라 항생제, 진해거담제 / 기침감기약, 비염 / 콧물약 이런 구성으로 아이에게 약을 복용시켰고, 밤에 고열이 날 때는 해열제를 먹이는 방식으로 통증을 덜어 주었습니다.
하루는 열이 39.3도까지 올라가 너무 괴로워하며 우는 아이를 보고 마음이 아팠지만 굳이 응급실로 데려가지는 않고, 빠르게 미온수 마사지를 해준 후 해열제를 복용시키고 1시간마다 경과를 지켜보았는데, 다행히 열이 잘 내려 별 탈 없이 지나갈 수 있었습니다. (해열제 - 챔프 빨강/ 챔프 파랑 교차 복용)
이후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해 보았더니, 해열제 복용으로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결국 응급실 방문하여 수액을 맞는다던지, 해열주사를 맞는다던지의 방법이 있더라고요. 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부모님들은 응급실에 갈 일까지는 없으시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아데노 바이러스 전염기간 - 유치원 / 어린이집 보내도 될까요?
앞서 설명드렸듯이 아데노바이러스의 잠복기는 평균적으로 4에서 5일 정도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아데노바이러스의 전염기간은 증상 발현 기간 동안 전염력이 생긴다고 합니다.
따라서, 아가가 바이러스 증상이 발현된 이후 증상이 잦아들면, 어린이집을 보내도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어떤 분들은 열나는 증상만 없어지면 전염력이 없어져 괜찮다고 말씀하시는 경우도 보았는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아기 기침이 떨어지지 않아서 아직 어린이집은 못 보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부모님들이 적당한 기준에서 판단하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예방법
아이 키우시는 부모님들은 이미 너무나 잘 알고 계시겠지만, 결국 바이러스 예방법은 기본으로 다시 돌아가야 하기에,
구구절절 다시 설명해 드릴까 합니다.
- 외출 후 손 씻기
- 다중이 이용하는 곳에 방문할 시 마스크 착용
- 위생관리 철저
- 실내 적정 온도 / 습도 유지
- 주기적인 실내 환기
몇 가지 안 되지만 일상생활에서 지키기 어려운 것들이죠.
부모들이 조금 번거롭고 힘들면 아이들이 편하다는 생각으로 지켜주시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상으로 아데노바이러스 (눈꼽감기) 관련해서 포스팅을 마칩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족구 증상과 전염경로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24 |
---|---|
뉴 다둥이 행복카드 - 신청방법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1) | 2023.05.18 |
자폐 스펙트럼의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5.17 |
2024년 출산혜택 총정리! - 2023년보다 혜택이 늘어납니다. (0) | 2023.04.24 |
원더윅스란? - 기간과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4.23 |
댓글